Abecedario 뜻: 알파벳이 나열되어있는 '표'.
스페인어 모음은 아래와 같다 :
이를 제외한 나머지 글자는 모두 자음으로 분류된다.
스페인어 글자는 다른 언어에 비해 단순한 편이다. 글자를 쓰는대로 읽으면 되기 때문이다.
모든 모음은 그대로 읽어도 된다. 하지만 자음의 경우, 예외인 글자가 몇 가지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스페인어 자음과 모음을 하나하나 붙여 살펴보자 :
larga의 뜻: largo는 '길다'라는 뜻이다
corta의 뜻: corto는 '짧다'라는 뜻이다
(뒤에 'o' 대신 'a'가 붙여지는 이유는, 모든 글자는 여성명사 이기 때문에, 형용사 또한 여성으로 바뀐다)
모음과 결합 :
B + a, e, i, o, u = ba, be, bi, bo, bu (바, 베, 비, 보, 부)
V + a, e, i, o, u = va, ve, vi, vo, vu (바, 베, 비, 보, 부)
자음과 결합 :
베와 자음과의 결합은 오직 B 만 가능하다. V 와 자음이 결합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B + l + 모음 = bla, ble, bli, blo, blu (블라, 블레, 블리, 블로, 블루)
B + r + 모음 = bra, bre, bri, bro, bru (브라, 브레, 브리, 브로, 브루)
발음의 차이
'ㅂ' 발음을 하는 B와 V이다. 이 둘은 같은 'ㅂ'의 발음을 하지만, 차이점이 있다면 :
B 가 들어간 단어에는 위아래 입술을 입안으로 말려서 더욱 강하게 발음하는 것이고,
V 가 들어간 단어에는 윗이빨을 아랫입술에 얹어서 '짧은 베'로 발음하는 것이다.
모음과 결합 :
'C'는 한 글자에서 2가지 발음이 있다.
'C'와 'a, o, u'가 붙으면 'ㄲ' 발음으로: '까, 꼬, 꾸'가 되는 것이고;
'C'와 'e, i'가 붙으면 'ㅆ' 발음으로: '세, 씨'가 된다.
보통 'ㅆ' 발음은 'S' 글자에 해당된다.
'까, 께, 끼, 꼬, 꾸'로 글자를 쓰고 싶다면
ca, que, qui, co, cu로 'qu'를 사용해서 대체한다.
스페인어에서 'Q' 글자 뒤에 바로 모음이 붙는 단어는 없다 (예: qa, qe, qi, qo, qu).
오직 que, qui 만 존재한다
같은 'ㄲ' 발음으로 'K'가 있으나, 이 글자는 외례어에서만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 kilo, karate, kungfu
'C'와 자음의 결합 :
C + l + 모음 = cla, cle, cli, clo, clu (끌라, 끌레, 끌리, 끌로, 끌루)
C + r + 모음 = cra, cre, cri, cro, cru (끄라, 끄레, 끄리, 끄로, 끄루)
C + c + i = -cci- (흔하지는 않지만 단어 중간에 들어간다: 예. Cocción)
C + h + 모음 = cha, che, chi, cho, chu (차, 체, 치, 초, 추)
'CH'는 다른 결합과 달리, 단 하나의 발음('ㅊ')으로 지정되어 있어 따로 알파벳으로 생성되었다
'D' + 모음
da, de, di, do, du
다, 데, 디, 도, 두
'D' + 자음
D + l + 모음 = dla, dle, dli, dlo, dlu (들라, 들레, 들리, 들로, 들루)
D + r + 모음 = dra, dre, dri, dro, dru (드라, 드레, 드리, 드로, 드루)
'F'의 정확한 발음은 : ㅍ과 ㅎ의 사이이다. 이빨 사이에 바람을 빼는 느낌으로..
'F' + 모음
fa, fe, fi, fo, fu
ㅍㅎㅘ, ㅍㅎㅞ, ㅍㅎㅢ, ㅍㅎㅝ, ㅍ후
'F' + 자음
F + l + 모음 = fla, fle, fli, flo, flu (ㅍ흘라, ㅍ흘레, ㅍ흘리, ㅍ흘로, ㅍ흘루)
F + r + 모음 = fra, fre, fri, fro, fru (ㅍ흐라, ㅍ흐레, ㅍ흐리(영어 free와 같음), ㅍ흐로, ㅍㅎ프루)
'G' 도 한 글자에 2가지 발음이 있는 글자다.
'G'와 'a, o, u'가 붙으면 'ㄱ' 발음으로: '가, 고 구'가 되고;
'G'와 'e, i'가 붙으면 'ㅎ' 발음으로: '헤, 히'가 된다.
보통 'ㅎ' 발음은 'J' 글자에 해당된다.
'게, 기'를 만들려면 같은 'G'를 사용하되 바로 'U'와 e 혹은 i 가 붙어야 한다.
G + U + E = 게
G + U + I = 기
이때, 'G' 뒤에'U'의 발음이 생략된다
'가, 게, 기, 고, 구'를 쓰려면
'ga, gue, gui, go, gu'로 쓰면 된다
하지만 예외 또한 있다:
'GU' + a 혹은 o와 결합할 때는, 'U' 발음을 포함해서 읽어야 한다.
'GU' + A = 구아 (과)
'GU' + O = 구오 (궈)
'GU' + U = (존재하지 않음)
그렇다면,
'구웨, 귀'를 쓰려면 어떻게 쓰면 될까?
이미 'GU + E 혹은 I'로 쓸 때는 'U' 발음이 생략되기 때문에
GUE(게) , GUI(기)가 된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U 위에 점 2개를 찍어주면 'U' 발음을 살리면서 읽을 수 있다
'U'에서 'Ü'가 되는 것이다
GÜE (궤)
GÜI (귀)
GÜ 뒤에는 E 혹은 I 만 결합되고 다른 모음 결합은 존재하지 않는다.
'H'는 무음이다
'H' + 모음
ha, he, hi, ho, hu
아, 에, 이, 오, 우
스페인어에서는 'I'가 2가지이다
'I'는 'i latina'라고 불리며, 라틴어의 i라는 뜻이고;
'Y'는 'i griega'라고 불리며, 그릭스어의 i라는 뜻이다.
'I'는 모음이지만, 'Y'는 자음이면서도 모음처럼 읽힐 때 가 있다.
'Y'의 발음
자음 'Y'의 발음은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국가나 지역마다 다 다르다.
스페인과 중남미의 몇몇 국가는 'Y'를 '이아, 이에, 이, 이오, 이우'로 발음하고,
남미의 몇몇 국가는 '자, 제, 지, 조, 주'로,
아르헨티나에서는 '쌰, 쎼, 씌, 쑈, 쓔'로 변형이 된다.
때로는 'Y' 발음은 'Ll'의 발음과도 비슷하기도 하다
'Y' + 모음
ya, ye, yi, yo, yu
자, 제, 지, 조, 주
이아, 이에, 이, 이오, 이우
쌰, 쎼, 씌, 쑈, 쓔
'L, R, rr'의 발음 차이
이 3가지 모두 같은 'ㄹ'의 발음이지만, 약간에 차이가 있다
'L'는 'ㄹ' 발음을 할 때 구부러지지 않고 매끈한 느낌으로 굴려준다. 예) 랄라 ('랄라' 사이)
'R'는 'ㄹ' 발음을 할때 구부러지도록 발음한다. 예) 라, 라, 라
'rr'는 'ㄹ' 발음을 할때 많이 구부러지게 많이 굴린다. 예) ㄹㄹㅏ, ㄹㄹㅏ
'L' + 모음
la, le, li, lo, lu
(구부러지지 않고 매끈한) 라, 레, 리, 로, 루
'R' + 모음
ra, re, ri, ro, ru
라, 레, 리, 로, 루
'-rr' + 모음
-rra, -rre, -rri, -rro, -rru
ㄹ라, ㄹ레, ㄹ리, ㄹ로, ㄹ루
'M' + 모음
ma, me, mi, mo, mu
마, 메, 미, 모, 무
'N' + 모음
na, ne, ni, no, nu
나, 네, 니, 노, 누
'Ñ' + 모음
ña, ñe, ñi, ño, ñu
냐, 녜, ㄴㄴㅣ, 뇨, 뉴
'Ñ'(에녜)는 라틴어에 존재하지 않는 알파벳이지만, 스페인어에서는 코로 발음하는 단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위에 '~'를 붙어줌으로 탄생하게 된 글자이다. 스페인어를 대표로 하는 글자로 여겨진다.
'P' + 모음
pa, pe, pi, po, pu
빠, 뻬, 삐, 뽀, 뿌
'T' + 모음
ta, te, ti, to, tu
따, 떼, 띠, 또, 뚜
다음 글자는 대부분 외래어에 사용되는 글자이지만, 지역에 따라 다른 자음과 발음이 섞이는 글자 중 하나다.
'W' + 모음
wa, we, wi, wo, wu
와, 웨, 위, 워, 우
발음: 가끔 'V'의 발음으로도 말할 때가 있다
'X' + 모음
xa, xe, xi, xo, xu
샤, 셰, 씌, 쑈, 쓔
발음: 가끔 'J'의 발음으로도 말할 때가 있다
'x'는 단어 중간에 들어갈 경우 'cs (ㄱㅆ)' 소리가 난다
예) examen
엑싸 멘
'Y' + 모음
ya, ye, yi, yo, yu
자, 제, 지, 조, 주
발음: 가끔 'LL'의 발음을 내야 하는데, 'Y'의 발음을 쓰임
'Z' + 모음
za, ze, zi, zo, zu
(번데기 발음) thㅏ, thㅔ, thㅣ, thㅗ, thㅜ
발음: 가끔 'S'의 발음으로도 말할 때가 있다
'스페인어! español > [기초] Bási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 de, a, desde, hasta ] 가장많이 쓰이는 전치사 구석구석 (0) | 2022.09.17 |
---|---|
전치사 [ Preposiciones ] (0) | 2022.09.16 |
관사: 정관사와 부정관사 [ Artículos: definidos e indefinidos ] (0) | 2022.09.15 |
음절과 강세 그리고 이중모음 [ Sílabas, acento y diptongo ] (0) | 2022.09.15 |
명사: 성과 수 [Sustantivo: el género y el número] (0) | 2022.08.24 |
댓글